Coffee Chat Brewing AI Knowledge

eng kor

[LearnMRI] MRI로 관찰되는 알츠하이머 치매 관련 혈관성 변화

Amyloid beta (A$\beta$)가 침착되면 Alzheimer’s demensia가 발병될 확률이 높아진다. A$\beta$ 침착에 의한 뇌 손상 이전에 혈관성 변화들이 관찰 되는데, 혈관성 변화는 생활 습관 개선이나 약물 치료로 개선될 수 있다. 다양한 형식의 MRI를 통해 관찰할 수 있는 혈관성 변화는 여러가지가 있다.


Choroid plexus (ChP)

  • MRI type: T1-weighted image (T1WI)
  • ChP: 뇌실(ventricle)에서 발견되는 혈관과 세포의 네트워크
    • 혈액-뇌 사이에서 면역세포의 관문 역할을 한다.
    • 뇌척수액(cerebrospinal fluid; CSF)을 생산하여 뇌세포의 노폐물 및 독성 제거에 도움을 준다.
  • ChP의 부피가 클수록 인지 장애 정도가 심해진다.


Perivascular space (PVS)

  • MRI type: T2-weighted image (T2WI)
  • PVS: 뇌를 관통하는 세동맥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
    • 혈관벽 내 및 주위의 체액, 세포 조직 등을 아우르는 개념이다.
    • Blood-brain barrier (BBB)의 한 구성 요소이다.
  • Fluid dynamic
    • CFS와 간질액(interstitial fluid; ISF) 사이 네트워크 역할을 해 대뇌의 부산물을 정화한다.
    • 뇌 속 림프계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. → glymphatic system
  • PVS의 확장(Enlarged PVS; EPVS)은 퇴행성뇌질환 및 다양한 뇌 질병과 관련이 있다.
  • PVS volume과 Amyloid beta (A$\beta$) 양성 확률은 비례한다.
    • Temporal lobe에서 경향성이 두드러진다: Temporal PVS를 A$\beta$ 양성 환자들이 많이 가지고 있다.


White matter hyperintensity (WMH)

  • MRI type: FLAIR
  • WMH: 백색물질 과집중
    • 노화가 주 원인으로, 혈류의 상실, 세포 손상으로 나타난다.
    • Subcortical hyperintensity: basal ganglia 근처의 WMH
  • 알츠하이머 치매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으나, 환자들을 관찰했을 때 A$\beta$ 양성과 WMH volume 간 비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