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offee Chat Brewing AI Knowledge

eng kor

소프트웨어/하드웨어 관련 여러 기술들

소프트웨어 (SW) 관련 신기술

  • 블록체인 (Blockchain): P2P (Peer-to-Peer)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온라인 금융 거래 정보를 온라인 네트워크 참여자 (Peer)의 디지털 장비에 분산 저장하는 기술
  • 매시업 (Mashup): 웹에 제공된 정보/서비스를 이용해 새로운 SW나 서비스, DB 등을 만드는 기술. 여러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.
  • SOA (Service Oriented Architecture; 서비스 지향 아키텍쳐):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/재사용이 가능하도록 서비스나 컴포넌트 단위로 구축하는 IT 아키텍쳐.
    • SOA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성 계층: Presentation, Biz-Process, Service Intermediary, Application, Persistency
  • 디지털 트윈 (Digital Twin): 현실 속 사물을 SW로 가상화한 모델. 실제 자산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음.
  • 그레이웨어 (Grayware): 목적은 악의적이지 않으나, 사용자 입장에서는 유용할 수도, 악의적일 수도 있는 SW(애드웨어, 트랙웨어, 악성 코드 등).
  • QKD (Quantum Key Distribution; 양자 암호키 분배): 양자 통신을 위해 비밀키를 분배 및 관리하는 기술. 두 시스템이 비밀키를 안전하게 공유하기 위해 QKD 시스템을 설치하여 운용하는 방식으로 활용됨.
  • SaaS (Software as a Service; 서비스형 소프트웨어): SW의 여러 기능 중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SW.
  • 시맨틱 웹 (Semantic Web): 컴퓨터가 사람을 대신하여 정보를 이해하고 가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차세대 지능형 웹.
  • RIA (Rich Internet Application): 플래시 애니메이션 기술과 웹 서버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통합, HTML보다 인터랙티브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신개념 플래시 웹 페이지 제작 기술.

하드웨어 (HW) 관련 신기술

  • N-Screen: N개의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.
  • Thin Client PC: 하드디스크 등 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. 서버 기반 컴퓨팅과 관계됨.
  • M-DISC (Milennial DISC): 한 번의 기록만으로 자료를 영구 보관할 수 있는 광 저장장치. 디스크 표면에 레이저를 이용해 자료를 조각하여 기록.
  • MEMS (Micro-Electro Mechanical Systems):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sensor, actuator 등 기계 구조를 미세 가공하여 전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 초미세 장치.
  • Memrisor: Memory + Resister, 전류의 방향과 양 등 기존의 경험을 모두 기억하는 특별한 소자.
  • TrustZone Technology: 하나의 프로세서 내에서 일반 구역 (normal world)과 보안 구역 (secure world)을 분할하여 관리하는 HW 기반 보안 기술. 칩 설계 회사인 ARM에서 개발.

RAID (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)

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고, 파일을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에 분산 저장/다중화하는 저장 기술. 기술에 따라 레벨로 구분됨.

  • RAID 0 (스트라이핑; Striping): 디스크를 병렬로 연결, 디스크 개수만큼 용량과 속도가 배로 증가함. 하나의 디스크만 순상되어도 전체 데이터가 파손됨.
  • RAID 1 (미러링; Mirroring): 같은 데이터를 다른 디스크에 동일하게 복사하는 방식.
  • RAID 2-4: 디스크 하나에 오류 정정 부호를 비트(RAID 2), 바이트(RAID 3), 워드(RAID 4) 단위로 저장하고, 나머지 디스크는 RAID 0과 같이 활용. 디스크가 하나 손상되어도 정상 가동이 가능하여 안정적.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함.
  • RAID 5: 오류 정정 부호를 여러 디스크에 블록 단위로 분산 저장한 방식. 디스크가 하나 손상되어도 정상 가동이 가능하여 안정적. 최소 3개의 디스크가 필요함.
  • RAID 6: RAID 5와 원리는 같으나 오류 정정 부호를 2개 저장하는 방식. 디스크 두 개가 손상되어도 정상 가동 가능, 최소 4개의 디스크가 필요함.

데이터 베이스 (DB) 관련 신기술

  • 하둡 (Hadoop):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.
    • 더그 커팅과 마이크 캐퍼렐라가 개발.
    • 구글의 MapReduce 엔진을 사용함.
    • 일반 PC급 컴퓨터들로 가상화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, 거대한 데이터셋을 병렬로 처리할 수 있게 개발된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.
  • MapReduce: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기 위해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. Map → Reduce 작업 순차적 수행.
    • Map 작업: 데이터를 연관성 있는 데이터 분류로 묶는 작업.
    • Reduce 작업: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작업.
  • 데이터 마이닝 (Data Mining):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내재된 변수 간 상호관계를 규명하여 패턴을 찾아내는 기법.
  • 타조 (Tajo): Apache Hadoop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.
  • OLAP (Online Analytical Processing): 다차원 데이터로부터 통계적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방식.
    • OLAP 연산: Roll-up, Drill-down, Drill through, Drillacross, Pivoting, Slicing, Dicing
  • 브로드 데이터 (Broad Data): 소비자와 상호 작용을 통해 생성된 데이터.
    • 기업 마케팅에 효율적이고 다양함. 이전에 알지 못해 새롭거나 기존 데이터에 새로운 가치가 더해진 데이터.

net_top

네트워크 관련 신기술

  • 메시 네트워크 (Mesh Network): 특수 목적을 위한 새로운 네트워크 기술로, 대규모 디바이스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됨. 차세대 이동통신, 홈 네트워킹, 공공 안전 등에 사용.
  • 피코넷 (PICONET): 여러 독립된 통신 장치가 블루투스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해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.
  • 애드-혹 네트워크 (Ad-Hoc Network): 고정된 유선망을 구축할 수 없는 경우(재난 현장 등) 모바일 호스트만을 이용해 구성 가능한 네트워크.
  • 파장 분할 다중화 (WDM;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): 광섬유를 이용한 통신기술로, 파장이 다른 복수의 신호를 보내 여러 단말기가 동시에 통신 회선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.
  • 소프트웨어 정의 데이터 센터 (SDDC; Software Defined Data Center): 내부 모든 자원을 가상화하여, 소프트웨어 조작만으로 관리/제어 되는 데이터 센터. 여기서 소프트웨어란 컴퓨팅, 네트워킹, 스토리지, 관리 등의 모든 개념을 아우름.
  • 개방형 링크드 데이터 (LOD; Linked Open Data): Linked Data와 Open Data의 합성어로,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웹에 공개된 연계 데이터. 웹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개별 URI로 식별하고, 각 URI에 링크 정보를 부여하여, 상호 연결된 웹을 지향하는 모형
  • IoT (Internet of Things; 사물 인터넷): 실세계와 가상 사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.
  • 클라우드 컴퓨팅 (Cloud Computing): 중앙 컴퓨터에 자원을 두고, 인터넷이 가능한 단말기를 사용해, 시공간 제약 없이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가상화된 환경.
  • USN (Ubiquitous Sensor Network): 정보를 각종 센서를 통해 무선으로 수집할 수 있게 구성한 네트워크. 부착한 RFID 태그를 통해 사물의 인식 정보와 주변 환경 정보를 탐지해 네트워크로 이 정보를 관리함.
  • SSO (Single Sign On): 한 번의 로그인으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. 개인은 각 사이트마다 개인정보를 일일이 기록하지 않아도 되고, 기업은 회원 통합 관리를 통해 마케팅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.